목록수행평가 자료 (16)
Charmant Un Reve
(2019 통합사회 - 문화 관련 영문 연구 보고서 분석) 1. 연구 주제: 문화가 지속 가능한 발전에 미치는 영향 2. 보고서 영문 제목: Re|shaping cultural policies: advancing creativity for development – the integration of culture in sustainable development 3. 번역 한국어문 제목: 문화정책의 (재)구성: 발전을 위한 창의성 증진 –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문화 통합 4. 출처: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UNESCO (https://en.unesco.org/) 5. 연구보고서 분석 문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사이의 관련성을 당사국의 권리와 의무로 삼은 최초의 국제 규약이 바로 문화다양성협약이었다. 이 협약에서는..
(2019 국어 - 시 감상문2) 올해 1월 즈음에 윤동주 시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읽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존경하는 시인으로 꼽는다는 윤동주 시인의 시라서 그런지, 윤동주 시인 시의 정서와 내 정서가 잘 맞아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시집에 실린 시 하나하나가 다 마음에 와 닿았다. 그 시들 중에서도 가장 인상 깊었던 시가 바로 ‘눈 오는 지도’였다. 이 시는 내가 ‘내 마음은’이라는 시 이후로는 ‘시’라는 문학이 얼마나 아름다운 문학인지를 알게 해준 첫 번째 작품이었다. 이 시가 나에게 특별하게 기억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정확히 언제였는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내 기억이 옳다면 그때 나는 초등학생이었고, 눈이 펑펑 내린 겨울이었다. 가족들과 차 대신 기차를 타고 서울에 가서..
(2019 국어 - 시 감상문1) ‘독을 차고’에서 ‘독’은 ‘유독하다’에서 독과 같은 의미이다. 그런 단어를 들었을 때 우리는 어떤 심상을 떠올릴까? 위험하다, 해롭다……. 그렇다면, 시 ‘독을 차고’에서 쓰인 독도 그런 의미일까? 1년 전부터 일제강점기 시대 독립 운동가들의 민족 운동, 저항 운동에 관심이 많아져, 그에 대한 민족저항 시들을 많이 찾아보았다. 그 중 인상 깊었던 시가 이육사 시인의 시 ‘절정’과 김영랑 시인의 시 ‘독을 차고’였다. 사실 두 시 모두 처음 읽었을 때 무슨 말인지 이해가 가지 않아 어려웠고, 시적 상황을 상상하려 해도 잘 상상이 가지 않았다. 그러나 여러 번 읽고 그 뜻을 알기 시작하니 시에서 정의하기 어려운 감정이 느껴졌다. 멋있다는 생각도 들었고, 가슴이 벅차오르는 ..
(2020 한국사 - 논문 요약 수행평가) 1. 논문명: 이병천, 2011, 「권위주의적 근대화의 역사적 기원」, 역사비평97 2. 논문 내용 요약 논문에서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소재는 ‘권위주의적 근대화 체제’와 ‘식민지 근대화론’이다. ‘권위주의적 근대화 체제’는 박정희 시대 경제 정책을 통한 근대화 체제를 의미하며, 논문의 머리말에서 알 수 있듯,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하는 이들이 ‘1930년대 이후 조선총독부가 주도한 전시 공업화 체제 또는 전시동원체제가 박정희 개발주의 동원체제의 식민지적 기원’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서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하는 이들은 말 그대로 우리나라가 일제 강점 하에 있을 때 일제의 도움으로 현재의 근대화를 이룩해낼 수 있었다고 이야기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이 이론에 전..